째의 개발 기록방

java 언어 배우기 본문

Back End/Java, Spring

java 언어 배우기

째린이 2021. 5. 3. 11:02

JVM을 사용해서 마음껏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JRE (Java Runtime Environment) 라고 부르며, 이런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JDK (Java Development Kit) 라는 것을 설치하면 된다.

자바는 현재 오라클의 소유이기 때문에, 다음 강의에서는 오라클 사이트에 접속해서 JDK를 설치해봅시다.

 

JDK(Java Development Kit)란?

DK를 설치하면 자바가상머신, 과

개발시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함께 설치됩니당.

JVM(Java Virtual Machine)=자바를 개발하는 도구

JVM(Java Virtual Machine)=소프트웨어로 구현한 가상머신. 가상머신은 컴퓨터 속의 컴퓨터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되듯 java로 작성한 프로그램은 이 JVM 에서 실행됩니다.

JRE(Java Runtime Environment)는 JVM 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자바 프로그램이 돌아가기 위한 환경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변수

변수는 정보를 저장하고 쓸 수 있게 해주는 '이름표' 같은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brand' 라는 변수를 만든 뒤, 그 안에 '나이키', '애플', '스타벅스' 같은 정보를 넣어둘 수 있습니다. 'brand' 라는 변수에 '나이키'를 저장해두면, 코드 아무 곳에서나 'brand'라는 이름으로 '나이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brand' 변수의 값을 '스타벅스'로 바꾸면, 코드의 다른 부분에서도 'brand'라는 이름이 '스타벅스'를 의미하게 됩니다. 세 번째 챕터 - 변수에서 자세히 배우게 됩니다.

자료형

'유재석', '박명수', '노홍철'은 문자입니다. 10, 20, 99는 숫자죠. 컴퓨터에는 이처럼 여러 가지 형태의 자료가 있습니다. 이 자료들의 종류를 '자료형'이라고 부릅니다.

자료형에는 대표적으로 숫자, 문자, 그리고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논리형 등이 있습니다. 자바에서는 int, double, char, boolean 등으로 표현합니다. 세 번째 챕터 - 자료형에서 자세히 배우게 됩니다.

함수

변수가 값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면, 함수(function)는 명령들을 보관하는 역할을 합니다.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여 쓰고 있거나, 프로그램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싶을 때 함수를 사용하면 되는 거죠.

수학에서는 x라는 입력값을 넣었을 때, y라는 결괏값이 나오는 것을 함수라고 하죠? 프로그래밍에서 함수도 비슷합니다. 입력값을 넣은 후, 그 값을 사용해서 필요한 동작을 하고, 출력값을 만들어냅니다. 함수의 입력값을 '파라미터' 혹은 '매개변수' 라고 부르며, 출력값을 '리턴값' 이라고 부릅니다.

함수는 대부분 ( )와 { }를 사용합니다. PrintName 이라는 함수 이름이 있다고 했을 때, 아래와 같은 형태로 주로 사용합니다.

PrintName(파라미터) { 함수 동작 return 리턴값 }

함수와 자료형

위의 함수 형태를 자바 스타일에 맞게 조금 더 배워봅시다.

함수의 입력은 '파라미터', 출력은 '리턴값'이라고 했습니다. 자바에서는 함수의 입력은 어떤 자료형인지, 출력은 어떤 자료형인지 미리 정해줍니다. 그리고 맞지 않는 자료형을 입력하거나 출력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하죠.

그래서 자바는 함수의 형태가 조금 더 추가되어서, 아래와 같은 형태가 됩니다.

리턴자료형 PrintName(파라미터자료형 파라미터) { 함수 동작 return 리턴값 }

'리턴자료형'과 '파라미터자료형' 자리에는 int, double, char, boolean 등의 자료형 이름이 들어가게 됩니다.

배열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에 담고 싶을 때도 있습니다. 이럴 때 배열을 사용합니다. 배열은 주로 [ ]를 사용해서 표현합니다. 자바에서의 배열 사용법은 다섯 번째 챕터 - 배열에서 배우게 됩니다.

 

 

변수 사용

변수의 사용은 다른 언어와 똑같습니다. 변수에 값을 대입 할 수도 있고, 연산을 할 수도 있습니다.

int age = 27; int num = 13; System.out.println(num + age); // 27 + 13 출력 age = num; // 13을 age에 지정 System.out.println(num + age); // 13 + 13 출력 age = age + 1; // 13 + 1을 age에 지정 System.out.println(num + age); // 13 + 14 출력

꿀팁: 출력 메소드

int age = 27; System.out.println("Hello, I'm "); System.out.println(age); System.out.println("."); Hello, I'm 27 .

이렇게 println 메소드를 쓰면 저절로 줄 바꿈이 되죠? 만약에 줄 바꿈을 원하지 않으면 println 대신 print를 써주면 됩니다.

int age = 27; System.out.print("Hello, I'm "); System.out.print(age); System.out.println(".");

Hello, I'm 27.